default_top_notch
ad42
default_setNet1_2
ad43

지방 쓰는 법 통해 왜 지방을 쓰는 지를 알게 된다.

기사승인 2018.09.23  16:22:48

공유
default_news_ad1
ad35

지방
추석을 맞이하여 제사에 사용되는 지방쓰는 법이 관심을 끌고 있다.
 
[서원일 기자=푸른한국닷컴] 지방(紙榜)이란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써 종이로 만든 신주(神主)를 말한다. 규격은 폭 6cm 정도, 길이 22cm 정도가 적당하며 한지(백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깨끗한 흰 종이에 고인의 이름과 사망날짜를 적어 사용한다. 만약 한지가 없다면 깨끗한 창호지나 백지로도 가능하다.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치면 소각한다.
 
부모님 두 분이 돌아가셨을 경우엔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쓴다. 이때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에 적는다. 부모님 중 한 분이 생존해 계신다면 지방에 돌아가신 분만 중앙에 쓴다.
 
지방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현(顯),제사를 지내는 사람(제주)와의 관계,조상의 직위,이름,신위(神位) 순서로 작성한다.
 
현(顯)은 고인을 모신다는 뜻이며 제주와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상고할 고(考), 어머니는 죽은 어미 비(位),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位), 증조 이상에는 증(曾) 자와 고(高) 자를 앞에 붙인다.
 
또한 관계 뒤에는 직위를 적는다. 이는 벼슬을 지냈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조상이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에 벼슬 이름을 쓰면 된다.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 적는다.
 
이어 벼슬 뒤에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이라 쓰고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적으면 된다. 마지막으로 고인의 영혼이 머무는 자리라는 뜻으로 신위(神位)를 쓴다.
 
예를 들면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고조할아버지일 경우 '顯高祖考學生府君神位(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라 적는다.
 
결국 지방을 쓰는 그 자체가 후손들에게 조상을 존경하는 것을 배우게 하고 가족에 대한 동질성,가족애,책임감 등을 가르쳐 주게 된다.
 
 
 
 

푸른한국닷컴, BLUKOREADOT

서원일 swil@bluekoreadot.com

<저작권자 © 푸른한국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ad39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