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35
![]() |
| 7일, 학부모연합 등 시민단체가 경북도교육청의 편향된 역사도서 검열 및 퇴출 시도를 규탄하고 있다 |
‘바른 교육과 학교 자율을 지지하는 시민단체 및 학부모연합’은 7일 경북교육청 앞 기자회견에서 “교육청이 헌법이 규정한 정치적 중립 의무를 어겼다”며 “특정 이념에는 관대하고, 대한민국 건국과 전쟁사를 다룬 도서는 배제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단체는 “김정은·시진핑을 긍정적으로 묘사한 도서들이 여전히 학교에 비치돼 있다”며 “이는 교육기관이 사실상 정치적 해석의 심판자가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어 “건국과 6·25는 대한민국 정체성과 직결되는 주제이며, 학생들은 다양한 시각을 비교하며 판단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며 “행정 공문으로 특정 도서를 금지하는 것은 사실상 검열”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 건국대통령 이야기'의 출판사 도서출판 보담은 “사실 확인 없는 왜곡 보도로 피해를 입었다”며 법적 대응 중이며, 상당 수 언론사에서 해당 기사 삭제, 수정 또는 반론기사를 게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6·25전쟁 이야기'의 저자 또한 “전쟁을 모르는 세대에게 6·25의 진실을 올바르게 전하고 싶었다”며, 해당 도서가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구성된 교육용 도서임을 강조하며 역사 왜곡 논란에 반박하고 있다.
교육 현장 일각에서는 이번 논란이 단순한 도서 비치 논쟁을 넘어 현대사 교육의 균형성과 국가 정체성 교육의 방향성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북도교육청은 이번 사안과 관련해 “해당 도서를 폐기하라고 지시한 적은 없으며, 학교의 자율 판단을 존중하겠다는 취지였다”는 해명을 내놓았으나, 명확한 공식 성명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도서 비치 문제를 넘어, 현대사 교육의 균형성과 국가 정체성 교육의 방향성을 둘러싼 사회적 논쟁으로 번지고 있다. 교육계 일각에서는 “역사교육은 배제와 검열이 아니라 비교와 토론의 장이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푸른한국닷컴, BLUEKOREADOT
서원일 swil@bluekoreadot.com
<저작권자 © 푸른한국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