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35
![]() |
우주 강국 향한 누리호 3차 발사.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박영우 기자=푸른한국닷컴] 2023년 5월 25일 오후 6시 24분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25일 오후 6시 24분 굉음과 함께 이륙을 시작한 누리호는 1·2단과 페어링 분리까지 마치며 순조롭게 우주로 향했다. 고도 550km에 도달한 누리호는 이번 발사의 목적인 실용급 위성을 사출하기 시작했다.
KAIST가 개발한 ‘차세대소형위성 2호’를 시작으로 큐브위성을 비롯한 8기 위성을 20초 간격으로 차례로 분리했다. 발사 923초까지 위성 8기를 모두 분리한 누리호는 발사 1138초 후 비행을 종료했다.
이번 3차 발사에선 지난 1·2차와 달리 실용급 위성 등 8기(주탑재위성 1기, 큐브위성 7기)를 정확한 우주 궤도에 올려야 하는 특급 임무가 주어졌다.
누리호가 최종 목표 고도인 550㎞에 도달하자 소형위성과 큐브위성 사출을 시작했다. 오후 6시 37분 소형위성 2호(NEXTSAT-2)이 분리됐고, 이후 20초 간격으로 국내 민간기업과 한국천문연구원이 제작한 큐브위성을 우주 공간에 뱉어냈다.
NEXTSAT-2의 임무 수명은 2년으로, 고도 550㎞ 태양동기궤도에서 국산 소형 X-대역 영상레이더(SAR)를 활용해 지구를 관측하고, 우주 방사선과 우주 폭풍을 관측하는 임무를 맡는다.
오후 7시7분, 남극 세종기지에서 NEXTSAT-2의 비콘신호(위성에서 주기적으로 지상으로 보내는 고유의 식별 신호)가 수신됐다. 부탑재위성은 우주 날씨 관측, 우주 방사능량 측정 등의 임무를 갖고 있다. 위성의 최종 교신 결과는 26일 오전 11시 발표된다.
이번 발사부터 누리호 기술의 민간 이전을 위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으로 참여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발사를 포함해 2027년까지 4번의 누리호 발사를 반복하며 누리호 고도화 작업에 착수한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성공 브리핑을 통해 “누리호 3차 발사가 성공적으로 완료됐음을 보고한다”면서 “차세대 소형위성 2호와 큐브위성 6기는 정상 분리됐음을 확인했지만 도요샛 4기 중 1기는 사출 성공 여부 확인을 위해 약간의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푸른한국닷컴, BLUEKOREADOT
박영우 dugsum@nate.com
<저작권자 © 푸른한국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