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35
![]() |
| 전남 신안군 장산도 남방 족도에서 좌초된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 사진@중앙일보영상화면캡처 |
[서원일 기자=푸른한국닷컴] 20일 해경에 따르면, 지난 19일 오후 8시 17분께 전남 신안군 장산도 남방 족도에서 좌초된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의 승객 246명, 승무원 21명 등 267명이 사고 접수 3시간10분여 만인 전날 오후 11시27분쯤 모두 해경에 의해 구조됐다.
승객들은 전원 구조됐으나 차량이나 화물을 두고 내린 탓에 여객선이 항구에 돌아올 때까지 선사 측이 제공한 숙소에 머물렀다. 승객 중 일부는 좌초 당시 충격으로 경미한 통증이나 두통 등을 호소해 총 27명이 병원으로 옮겨졌다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는 사고 발생 9시간27분만인 이날 오전 5시44분쯤 목포시 삼학부두에 자력 입항했다.
해경은 20일 여객선 좌초 사건과 관련해 일등 항해사와 인도네시아 국적의 조타수를 긴급체포했다고 밝혔다.
20일 전남 목포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의 항해사가 휴대전화를 보는 등 한눈을 팔다 항로를 벗어나 무인도와 충돌하는 사고를 낸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신안 앞바다의 협수로(狹水路) 구간에서 수동 운항이 아닌, 자동 운항으로 항해를 하다 항로를 3㎞ 가량 이탈해 좌초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당시 일등항해사는 수동으로 운항해야 하는 협수로 구간에서 휴대전화를 보느라 자동항법장치에 선박 조종을 맡긴 것으로 조사됐다.
이 과정에서 여객선은 방향 바꾸는 변침(變針) 시기를 놓쳤고, 무인도로 돌진해 좌초 사고로 이어진 것으로 해경은 보고 있다.
해경 조사 결과 사고 발생 지점은 수심과 항로 폭이 좁은 협수로로 파악됐다. 협수로에서는 항해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에서 통상 선박은 자동항법장치에 의존해 운항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사고 당시 일등항해사는 해당 시간대 당직자였으며, 당시 선장은 일시적으로 조타실에서 자리를 비운 것으로 파악됐다. 선박교통관제센터(VTS)를 통해 해경에 좌초 사고를 최초로 신고한 사람도 항해사로 확인됐다.
일등항해사는 조사 과정에서 “휴대폰을 보다가 변침하는 시점이 좀 늦었다”며 “이후 타기를 수동으로 조작했는데 말을 듣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해경은 선체 내·외부를 비추는 폐쇄회로(CC)TV와 항해기록저장장치 등을 확보해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푸른한국닷컴, BLUEKOREADOT
서원일 swil@bluekoreadot.com
<저작권자 © 푸른한국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